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소셜연금 신청 연령 62·66세가 50% 넘어

언제부터 수령하느냐는 소셜연금에서 가장 큰 고민거리다. 언제 시작하느냐에 따라 월 수령액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소셜연금 액수 계산은 어찌 보면 단순하다. 지금까지 내가 쌓아놓은 크레딧과 몇 살에 받느냐 두 가지다.     사회보장국(SSA)은 ▶일한 기간 ▶소득 액수 ▶생일을 기준으로 한 소셜연금 100% 수령 나이 ▶실제 소셜연금 수령 나이 4가지를 기본으로 월별 지급액을 계산한다.     수령액은 일한 기간과 소득 두 가지로 계산한다. SSA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조정한 최고 소득 35년치를 바탕으로 수령액을 계산한다. 투자소득을 제외하고 평생 높은 임금을 받았다면 은퇴 후 수령액이 더 많다.   그러나 매년 소득이 많았더라도 근무 연수가 35년이 안되면 수령액이 줄어든다. 35년보다 적게 일한 해는 평균 계산에 0달러가 돼 수령액을 줄인다. 은퇴 후 소셜연금이 생활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 35년은 일하는 것이 좋다.   수령 나이에 따른 액수는 100%를 받을 수 있는 67세를 기준으로 하면 된다. 67세 이전에 받으면 수령액은 줄지만 받는 기간은 늘어난다. 67세 이후에 받으면 받는 기간은 줄지만 수령액이 늘어난다.   100% 수령 가능 연령은 소셜연금을 100% 받을 수 있는 나이로 출생연도에 따라 결정된다. 1960년 이후 출생자는 67세부터 100%를 받을 수 있다.   ▶통계로 본 소셜연금 받는 나이   소셜연금을 언제 받느냐는 철저히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다른 은퇴자들이 실제로 몇 살부터 소셜연금을 받느냐는 아는 것은 상황 파악에 도움이 된다.  2022년 통계를 보면 새로 소셜연금을 받기 시작한 이들은 약 341만명이었다. 이들 중 65.1%는 62세와 65세, 66세였다. 이 통계는 개인차에도 집단으로서 은퇴자들이 수령액과 기간 사이에서 어느 쪽을 비중을 더 두는지 현실적인 선택을 엿볼 수 있다. 흔히 수령 나이를 분류할 때 수령 가능 나이인 62세, 100%를 받는 67세, 최대액을 받을 수 있는 70세로 나누지만 현실에서는6 2세, 65세, 66세가 3분의 2 에 이른다.     2022년 수령 신청자 가운데 가장 많은 연령은 62세로 전체의 27.3%를 차지했다. 수령액은 적지만 일찍 받는 이들이 가장 많은 게 현실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연령은 66세로 24.7였다. 세 번째로 많은 것은 65세로 13.1%였다. 이 중 62세와 66세가 절반을 넘었다. 66세는 수령액에서 100%를 받는 67세와 큰 차이가 없고 65세도 66세와 비슷한 심리라고 보면  결국 은퇴자들은 수령액보다 이른 나이에 받는 걸 더 선호하지만 수령액이 70%로 크게 적은 62세보다는 65세와 66세까지는 버텨 100% 가깝게 받아 손해를 최소화하려는 심리가 강함을 알 수 있다. 생활비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일 수도 있고 더 오래 받는 것에 조금 더 중점을 둔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최근엔 기금 고갈 우려가 더 커지면서 조기 수령이 늘어난 부분도 있다.     교과서적인 안내에 따르면 62세 수령의 장점은 일찍, 오래 받는다는 것이다. 특히 2033년까지 사회보장연금 혜택이 축소될 가능성을 고려해 미리 수령하는 것이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선택하면 태어난 해에 따라 지급액이 영구적으로 25%에서 30%까지 줄어든다. 67세 수령은 100%를 받기 때문에 기준점 역할을 한다. 70세 수령은 67세보다 수령액을 24%~32% 더 받을 수 있다. 수명이 늘면서 수령 기간이 적다는 단점도 갈수록 줄어든다.   수령 시작 나이와 혜택의 차이를 수치로 보면 2023년 12월 기준, 62세의 평균 월 수령액은 1298.26달러였다. 67세는 1883.50달러, 70세는 2037.54달러였다. 70세 수급자가 조기 수급자보다 평균 57% 더 많이 받았다.   은퇴계획 솔루션을 제공하는 '유나이티드 인컴'의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은퇴자 중 최적의 시기에 소셜연금을 신청한 이들은 4%에 불과했다. 반면 70세까지 기다린 이들은 57%가 최적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런 수치는 최고의 혜택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보여준다. 또 70세에 신청하는 것이 모든 이들에게 최선의 선택은 아니라는 것이다.   안유회 객원기자연금 소셜 소셜 수령 소셜 신청 수령 신청자

2025-03-16

[설문 결과] 소셜연금 수령 계획, 67세부터가 1위

    소셜시큐리티(SS) 연금과 관련해 한인들은 수령 연령을 다양하게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리아데일리닷컴이 지난 13일 오후부터 17일 오전까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한인이 가장 많이 선택한 보기는 '만기퇴직 연령까지는 일하고 싶다. 67세부터 받을 계획이다'였습니다.     설문조사 기간 동안 모두 512명이 참여했는데 이 가운데 193명이 여기에 표를 던졌습니다. 이는 전체 응답자의 37.7%에 해당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연금을 최대한 늦춰 받겠다는 한인이 많았습니다. '최대 금액을 받으며 재정적으로 더 여유로운 노후를 보내고 싶다. 70세부터 받을 생각이다'를 선택한 한인은 응답자의 26.56%를 차지하는 136명이었습니다.   또 '액수가 적더라도 일찍 받을 계획이다. 62세부터 받겠다'는 대답도 131명이었습니다. 이는 전체의 25.59%로 70세부터 연금을 받겠다는 응답자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답한 비율은 10.16%로 52명이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한인들이 연금을 최대한 늦게 받으려고 하거나 최소한 만기퇴직 연령부터 수령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금액적으로 크게 차이가 나더라도 받을 수 있는 나이부터 일찍 받겠다는 한인이 의외로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연금을 일찍 받으려는 이유에 대해서는 그만큼 노후를 위한 재정 여유가 충분치 않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김병일 기자설문 결과 연금 소셜 소셜 수령 수령 연령 만기퇴직 연령

2023-10-17

10명 중 7명 "소셜연금 조기 수령"…시니어 설문 응답자 72%

#. 정년을 몇 년 앞두고 김선호(62) 씨는 소셜연금을 조기 신청했다. 정년에 받는 소셜연금보다 20% 적은 금액을 평생 받아야 하지만 연금이 고갈될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신청하기로 결정했다.     #. 아파트 관리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최정선(63) 씨는 소셜연금 조기 신청을 알아봤다. 하지만 일을 하면서 받으면 소득에 따라 연금이 줄어들 수 있고 세금 문제도 있어 포기했다.     최근 소셜연금을 정년보다 일찍 신청하는 시니어들이 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소셜연금 최대 수령 연령인 70세 이전 사회보장 혜택을 받을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관리 기업인 슈로더가 실시한 2023 은퇴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7명(72%)이 소셜연금을 조기 수령하기를 원했다. 62~65세 사이 소셜 연금 혜택을 받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40%로 나타났고 70세까지 기다리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10%에 그쳤다.   최근 연방예산위원회(CRFB) 보고서에서 2033년부터 은퇴연금 수령액이 평균 23% 줄어든다는 예측이 발표된 영향이다. 실제로 응답자의 44%가 소셜연금 고갈 우려로 조기 수령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재정전문가들은 평균 수명보다 더 오래 살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면 70세까지 기다리는 것이 노년기에 더 높은 소득원을 보장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년 연령을 넘어 70세까지 소셜연금 수령을 연기하면 영구적으로 혜택이 8%나 증가한다”며 “부부 경우 70세까지 연기하면 배우자가 사망할 경우에도 유족 연금으로 남은 배우자가 사회보장 혜택을 최대로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셜연금을 조기 신청하면 연금액이 줄어들고 일을 하면서 신청하는 경우 근로소득이 일정 한도를 초과하면서 연금 지급액 감소 뿐만 아니라 세금부과 대상도 될 수 있다. 또 연방 정부에서 제공하는 주 보험인 메디케어는 65세부터 제공되는데 만약 65세 이전 조기 은퇴를 하고 연금을 신청하게 되면 65세가 되어 메디케어를 받을 때까지 오바마 케어 등 보험 가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도 추가된다.   소셜연금 조기 신청에 대한 단점이 많지만 65세 때 생활보조금(웰페어·SSI)을 신청할 수 있다면 정년보다 일찍 수령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한인복지상담센터 최병태 소셜워커는 “조기 수령은 건강, 재정, 현재 소득, 가족관계를 모두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며 “가주에서 65세가 지나면 자격 요건에 따라 SSI 신청을 할 수 있어 조기 신청으로 지급액이 줄더라도 소셜연금과 SSI를 함께 받으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재정전문가들은 소셜연금 조기 수령을 결정하기 전 가계 재정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아메리츠 파이낸셜의 클라우디아 송 파이낸스 어드바이저는 “소셜연금을 정년보다 일찍 신청하기 전 현재 예금, 은퇴저축, 생활비, 부채, 월 페이먼트 등을 모두 살펴보고 은퇴 후 기대 여명에 필요한 매월 지출도 살펴봐야 한다”며 “지출 대비 충당할 돈이 부족하다면 그때 소셜연금으로 충당을 결정하라”고 조언했다. 또 “소셜연금 외 어뉴이티같이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도 미리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덧붙였다. 이은영 기자연금 시니어 소셜 조기 소셜 수령 조기 수령하기

2023-10-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